연예
"尹, 계엄 제대로 했어야"…우파 연예인 속속 커밍아웃
등록 2025.01.07 00:00:00
탄핵 반대 집회 모습 드러내고 연단에 오르기도
김흥국·JK김동욱·김우리·최준용 尹 지지 잇따라
[서울=뉴시스]홍주석 인턴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 속에서 연예인들의 소신 발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보수 성향의 연예인들도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는 '커밍아웃'이 줄을 잇고 있다.
가수 김흥국은 지난 2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근처에서 열린 '대통령 관저 앞 불법 체포 저지 집회'에 참석했다.
그는 무대에 올라 "매일 유튜브에 공격당하고 있다. 호랑나비를 계엄 나비라고 하고 어떤 미친X은 내란 나비라고 한다. 정말 살 수가 없다"며 " 대한민국을 지키고 윤 대통령을 지키기 위해서 조금만 힘을 내고, 우리가 뭉치면 정말 대한민국을 살릴 수 있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또 "2년 반 동안, 이분만큼 잘한 대통령 어디 있냐.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전 대통령도 잘하셨지만, 윤 대통령이 제일 잘하고 있다"며 "난 해병대 출신이다. 나라가 어렵고 국민이 힘들 때 해병대가 제일 앞장서서 대한민국을 지키는 게 해병대라고 배웠다. 전국 해병대 출신 선후배 여러분 전부 한남동으로 들이대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김흥국은 오래전부터 자신을 '보수우파 연예인'이라며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 왔다. 지난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를 지원하기 위해 20일간 유세 현장을 찾기도 했다.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임화수 역을 맡아 사랑받은 배우 최준용 역시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지난 1일 최준용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한남동 공관 앞에서 탄핵 반대 집회에 참여하며 생방송을 진행했다. 또 이날 그가 올린 쇼츠 영상에는 그의 아내와 배우 노현희가 함께 집회에 참여하는 모습 등이 나왔다.
그는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인근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국민대회'에도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 커뮤니티에 집회 현장에서 만난 가수 김흥국, 개그맨 최국 등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기도 했다.
전날 같은 집회에서 연단에 올라 마이크를 잡은 그는 "진작 올라오고 싶었다. 사실 저도 여러분들이 좋아하는 (김)흥국 형님과 같은 불자다. 그래서 좀 쑥스러웠는데 허락해 주셔서 마이크를 잡게 됐다"며 "지난 12월 3일 느닷없는 계엄령 선포에 놀랐다. 내심 계엄 제대로 좀 하지. 아쉬웠다"고 고백했다.
이어 "그런데 시간이 지나고 보니까 내가 우리 윤 대통령의 큰 뜻을 몰랐던 것 같다. 한 달 정도 지났는데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반국가 세력들이 여기저기서 막 나오고 있다"며 "간첩이 없는 것 맞냐. 민주노총에 간첩 많은 것 아니냐. 그 양xx 새x들은 집회 허락도 안 받고 한다. 저 xx의 새x들"이라며 욕설을 내뱉고 분노를 표출했다.
최준용은 한 여론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집회 참가자들을 독려하기도 했다.
그는 "어느 기관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이 40퍼센트까지 됐다고 하더라. 전라도 쪽에서도 25% 정도는 지지한다더라"며 "대통령께서 국민들을 일깨웠다. 대통령 끝까지 지켜 드리자"라고 지지를 호소했다.
최준용이 언급한 해당 여론조사는 '한국 여론평판연구소(KOPRA)가 아시아투데이 의뢰로 지난 3~4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로 윤 대통령 지지율은 40%를 나타냈다.
5일 한국계 캐나다 가수인 JK김동욱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지지율 40% 돌파!"라며 태극기 모양 이모티콘과 함께 이 여론조사 결과를 알렸다. 또 "이건 하늘의 뜻이 아닌 자유민주주의를 갈망하는 사람들의 염원"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일각에서는 해당 여론조사를 두고 "부정선거 의혹 등을 질문하며 끝까지 응답한 사람들만으로 통계를 냈다"며 "응답의 편향성 등에서 문제 제기가 이뤄질 수도 있어 보인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스타일리스트 김우리도 최근 윤 대통령 관저 앞에서 탄핵 반대 집회를 벌이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게재하며 “지금 먼저 때려 잡아야 할 인간들은 빨갱이들이다”라는 글을 올렸다. 이에 대한 비난이 이어지자 해당 포스팅을 삭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